반응형

[리뷰]에스프레소 106

[공연리뷰] 국악사랑 교사모임 "만휴(卍休)" 제 7회 정기 연주회

2005년부터 매년 정기연주회를 선보인 ‘국악사랑 교사모임 만휴’가 올해 7회 정기연주회로 2011년 6월 11일 오후 5시 오정아트홀에서 연주회를 가졌다. 여전히 인천, 부천, 시흥, 안양, 김포 등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이 모여 뜻을 함께하며 국악의 묘미를 보여주었고 나아가 아름다운 모습들도 많이 보여주어 너무 기분 좋은 시간이 되었다. ‘만휴’는 ‘세상 만가지가 모두 아름답다’라는 이름 뜻에 맞게 아름다운 일들을 많이 하고 있다. 올해 주제 역시 ‘나눔’으로서 여전히 팜플렛에는 꽃다발 대신 성금을 부탁했고 공연 사이사이마다 유니세프 홍보영상과 함께 가난과 질병으로 죽어가는 아이들의 참혹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무의미한 무료공연 대신 아름다운 마음을 걷는 만휴의 모습에서 아름다움을 느꼈다. 이는 올해만 해..

[공연리뷰] 2011 부천 합창 페스티벌/부천시민회관 대공연장

06월 09일 부천시민회관 대공연장에서는 합창 페스티벌이라는 이름 아래 5개 단체가 참여한 음악회가 열렸다. 부천시 주최, 부천시립예술단이 주관한 본 공연은 무료로 진행되어 많은 시민들이 참여했다. 단체로는 부천의 대표 예술단체 ‘부천필 하모닉 오케스트라 코러스’를 필두로 ‘부천 YMCA 그린 여성 합창단’, ‘서울신학대학교 앙상블 합창단’, ‘가톨릭대학교 여성합창단’, ‘부천시 소년소녀합창단’이 참여했다. 너무 이르지도 늦지도 않은 저녁 7시 30분에 부천시민회관 대공연장에서 공연이 진행됐다. 많은 관객들로 입구는 벌써 붐비고 있었다. 5개 단체의 친분 있는 사람들이 대다수였겠지만 나처럼 시 주최로 벌어지는 무료 행사는 꼭 참여하는 사람들도 많아 보였다. 다양한 연령대의 팀이 출연해서인지 관객들도 어린..

[공연리뷰] 연극열전 : 앵콜 민들레 바람되어/대학로 아트원 시어터

2004년부터 시작된 ‘연극열전’은 과히 국내 최고의 연극기획단체라 불러도 손색이 없다. 2년마다 한 번씩 열리는 연극열전은 그 해에 새로운 작품으로 만나고 다음 해에 앵콜공연을 하는 방식으로 공연 기획 및 활동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처음 연극열전은 논쟁의 중심에 섰었다. 일일이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유명 스타 배우들을 무대로 끌어와 흥행돌풍을 이어간 것이다. 이것은 곧바로 일시적 흥행 위주 상술이냐 연극계의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행위냐로 이슈화되며 연극계를 흔들었다. 결론부터 따지면 연극열전은 대성공을 거뒀고 일반 연극은 아직도 관객이 없어 허덕이고 있다. 결국 유명배우가 나오는 공연은 성공하고 무명배우가 나오는 공연은 작품의 질과는 상관없이 여전히 힘들어한다는 것이다. 28일 목요일 현재 연극..

[공연리뷰] 창작 뮤지컬 · 작은 오페라 ‘어떤 사랑’/부천 CSK예술단

2011. 05 . 21비가 오는 날이었다. 400석 규모의 복사골 아트홀 입구에는 부천 CSK 안내요원 여럿이 배치되었다. 과하다 싶을 정도로 많은 인력이 있었고 방명록을 남겨 달라는 친절한 멘트와 프로그램을 나눠주는 모습은 공연을 관람하러 온 관객들을 기분 좋게 만들었다. 예상대로 정시가 되었는데도 관객은 30명 남짓 차게 되었으며 대다수는 출연진의 친분으로 온 사람들이었다. 홍보에 대한 실망감이 커질 무렵 대표자인 곽충신 연출가가 비로 인해 공연 시간을 좀 더 지연하겠다며 직접 나와 멘트를 했다. 최근에 한 마디 말도 없이 공연시간을 사정상 늦추는 공연단체들에 비해 이런 점은 솔직함으로 보였고 넓은 마음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결국 15분 지연에도 불구 관객은 40명을 채 넘지 못하고 시작하였다. ..

[공연리뷰] 다문화 가정 어린이를 위한 부천시 아동극 축제/극단 다람(2011.05/06,29)

비가 주룩주룩 오는 날이었다. 3시 공연을 관람하기 위해 2시 30분쯤 삼정복지회관에 도착했다. 1층에서는 풍선을 이용한 데커레이션이 한창이었다. 알아본바 아동극 축제와는 상관없는 다음 날 1층에서 있을 경로잔치를 위한 것이었다. 1층 로비에 이젤을 세워 공연을 홍보했고 계단마다 액자에 공연 내용을 끼워놓았다. 2층으로 올라가자 관계자가 테이블에 앉아 관객들을 맞이했고 리플렛을 비치해두고 있었다. 사업 대표자와 인사를 나누며 짧은 대화를 나눴다. 부천다문화네트워크를 통해 다문화가족을 초대했고 그 수에 비해 극장의 객석이 남아 여러 기관의 협조를 통해 저소득층 가정과 다양한 보호시설을 통해서도 초대하게 되었고 일반 객석은 사업 목표에 따라 초대하지 않았다고 했다. 100명가량 예상한다던 사업 대표자의 말과..

[공연리뷰]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극단 노뜰

함축과 상징만 남긴 방,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 스페인 작가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는 1936년에 이 작품을 남기고 사살되었다. 국가의 내전 속에서 힘들게 완성시킨 그의 작품은 85년이나 흘러버린 현재까지도 그 영향을 과시하고 있다. 2011년 오정아트홀의 상주극단 ‘노뜰’은 함축과 상징만 남긴 방,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을 관객에게 공개했다. 극장에 들어서자 ‘노뜰’의 개막 공연을 축하하는 오정아트홀의 기쁨을 충분히 느낄 수 있었다. 포스터로 채워진 내부며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을 위한 안내요원 등의 상기된 모습을 통해 공연의 기대감은 더욱 채워졌다. 객석으로 들어서자 뜻밖의 모습에 놀랐다. 나를 포함한 관객들 모두 무대 뒤쪽으로 안내를 받아 들어온 것이다. 일반적인 공연으로 볼 때 막이 있어야 ..

반응형